UPDATED. 2024-04-25 15:36 (목)
[은하면 학산리 내남마을 - 사람사는 이야기 ❶]
상태바
[은하면 학산리 내남마을 - 사람사는 이야기 ❶]
  • 홍성신문
  • 승인 2019.12.31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쿰쿰한 담뱃잎 너는 사람들

*내남마을 유래와 역사

내남마을은​ ‘남당,​남댕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것으로 ​내남마을은 ​백제시대에는​ 결기군에​ 속한​ 지역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 결성현​ 사곡면에 ​속했다가 ​조선​후기에​ 하면으로​ 변경,​ 조선시대​ 말엽에​ 은하면에 ​편제됐다.​

1750년에​ 편찬된 ​여지도서(與地圖書)에 ​따르면 ​내남리가​ 사곡면 ​남당리로​ 기록되어​있다.​ 1789년 ​호구총서(戶口總書)에는​ 사곡면이​ 사라지고 ​은하면에 ​편입된 ​것으로 ​기록된다.​ 호구총서에는​ 남당리가​ 조곡리에​ 이어 ​은하면 ​마을​중 ​두​번째로 ​되어​ 있다.​ 인근​ 거산리와 ​학산리의 ​옛​지형은 ​모산만이​ 만입하는​ 해안지역이었다.​ 바닷물이​ 인근​ 거산교까지​ 올라왔다고 ​한다.​ 그래서​ 주민들은​ 서부면에​ 가면​ 남당리가​ 있고,​ 은하면에​ 가면​ 내남리​ 남댕이가 ​있었다고 ​말한다.​

내남마을은​ 특정​ 성씨가​ 주류를​ 이루는 ​집성촌은 ​아니다.​ 그러나 ​1960~70년대​ 마을이​ 가장 ​번성했던​ 시기에 ​60호​중 ​10호​ 정도가 ​경주정씨였다.​ 1931년생​ 경주정씨​ 양경공파 ​정준섭​씨에 ​의하면​ 조선말기~대한제국시대에 ​경주정씨가​ 내남마을에 ​정착했다고​ 한다.​ 경주정씨​ 6대조 ​정우성의​ 부인​ 달성​ 서​씨가​ 안면도에​ 거주하다​ 전염병이 ​돌던​ 해,​ 아이를​ 데리고 ​피신하면서 ​내남마을에​ 정착했다.​

배를​타고 ​도착한 ​곳이 ​금리천 ​항구가 ​있던​ 내남마을이었고,​ 자손을 ​남기면서​ 경주 정씨가 ​늘어났다고​ 한다.​ 그러나​ 경주정씨​ 대부분이 ​마을에​ 오래​ 세거하지​않고,​ 외지로 ​나가​살면서 ​집성촌을​ 형성하지는 ​않게​ 됐다.​

내남마을에는​ 예로부터 ​천석꾼이 ​많았다고​한다.​ 그중에서도 ​마을주민들이 ​지금도 ​기억하는 ​천석꾼으로​ ‘김주사’라 ​불리던​ 안동김씨​ 김병창, ​자선가로​ 알려진​ 경주정씨​ 정용해,​ 이​첨사라고​ 알려진 ​이하범이​ 있었다.

​전언에 ​의하면​ 김병창은​ 내남마을​ 일대​ 산과 ​논,​ 밭을 ​소유한 ​부자였으며,​ 기와집에는​ 사람들을​ 혼내는​ 광이 ​있었다고​ 한다.​ 정용해는 ​마을​자선가로 ​알려질​ 정도로​ 가난한​ 이들에게​ 곡식을​ 베풀고,​ 인근 ​결성과​ 은하면​ 주민들의​ 세금도 ​내주었다고​ 한다.​

내남마을은​ 총​2개​반으로 ​구성되는데​ 마을회관이​ 위치한 ​1반을 ​‘아랫마을(아랫말)’,​ 은하감리교회가 ​있는 ​2반을 ​‘윗마을(웃말)’이라​ 부른다.​ 아랫말과 ​웃말을​ 구분하는 ​산모랭이에는​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방앗간이​ 있었다.​ 유연금​씨의​ 남편 ​고(故)정원섭​씨 ​일가가 ​운영했던 ​방앗간으로​1980년대​쯤​ 소실된​ 것으로​ 보이며​ 마을주민들은 ​지금도 ​방앗간을 ​기억한다.

내남마을에​ 전화가​ 들어 온​것은​ 1972년​ 정준섭​씨가​ 이장​재임​ 시​ 은하면사무소에서​ 마을마다​전화​ 한​대 씩을 ​개설해줬다고 ​한다. ​마을​내​ 급한​ 연락을​ 취할​ 때는​ 정준섭​씨​ 집​전화를​ 이용했다.

*사람 사는 이야기 | 쿰쿰한 담뱃잎 너는 사람들

 

우리나라에​ 담배가 ​들어 온 ​것은 ​1600년대​ 초로,​ 300여​년간​ 자유​경작을 ​하다가 ​1921년부터 ​전매​ 경작으로 ​돌렸다.​ 담배는 ​남미가 ​원산지인​ 아열대​ 및 ​열대작물로 ​대략​2m​정도​ 자란다.​ 원산지에서는​ 다년생 ​작물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힘들어 ​해마다​ 심는다.​ 1960~70년대​ 농촌에서​ 담배농사는 ​판로가 ​확실하고 ​목돈을​ 만질​ 수 ​있는 ​농사였다. ​그러나​ 워낙 ​담배농사가 ​힘들어​ 농촌이 ​고령화되면서 ​현재 ​담배농사를 ​짓는 ​농가를 ​만나기는 ​쉽지​ 않다.

내남마을이​ 처음 ​담배농사를 ​짓게 ​된 ​것은​ 고(故) ​정한조​씨의 ​영향이다.​ 정한조 ​씨는​ 결성면을​ 자주​다니면서​ 이런 저런​ 소식들을​ 많이​ 접했고,​ 해방​이후 ​우연히 ​담배​종자를​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판로가​ 확실했던 ​담배농사를 ​한 때는 ​40여 ​가구가​ 담배농사를​ 지었지만,​ 워낙​ 고된  ​일에​ 중간에​ 그만 둔 ​가구가 ​더 ​많았다.​ 현재는​ 최병창,​ 이종익​씨​ 두​ 가구만이 ​담배농사를​ 짓고 ​있다.​ 그나마도​ 점점​ 나이가​ 들어가​ 담배농사를​ 언제까지​ 지을 지는 ​모르겠다고​ 한다.​

 

담배농사는​ 지금 보다는 ​예전이 ​훨씬 ​더​ 품이​ 많이​ 들어가는 ​농사였다.​ 1월에 ​전매청에서 ​담배​씨를 ​받거나​ 구항면​ 마온리에​ 가서​ 모종을 ​사​온다.​ 4월 ​중순이 ​되면 ​판에 ​가식을 ​한다.​ 5월에 ​밭에​ 정식한다. ​비닐하우스가​ 없던 ​시절,​ 내남마을에서는 ​인근​산에서 ​나무를​ 베어다가 ​나무를 ​X자로 ​세워​놓고 ​짚으로​ 엮어 ​담배를​ 걸어 ​말렸다.​

최병창​씨 ​부인​ 정지준​씨는 ​“그때는 ​비닐도 ​흔하지​ 않은 때라 ​비가 ​오는 ​날이면 ​거적대기나 ​밀대​방석을​ 가져다​ 덮어두고는​ 했다.​ 지금도 ​일이 ​많지만​ 그때는​ 일이​ 더​ 많았다.​ 지금도 ​그만두고​ 싶지만​ 그만두면​ 뭐​해서 ​먹고​사나​ 하는​ 마음에​ 그만 둘​ 엄두를​ㅜ 못​낸다”고 ​말한다.​

담배가 ​자라면​ 가장​ 더운​ 7월에 ​담뱃잎​ 수확을​ 한다.​ 담뱃잎은​ 하엽,​ 중엽 ,​상엽으로 ​나뉜다.​ 마치​ 상추를 ​아래에서 부터​ 따​먹는​ 것과​ 같은​ 이치다.​ 잎이 ​하얗고​ 보드라운​ 것이​ 하엽,​ 잎이 ​두껍고 ​붉은​ 것을 ​상엽,​ 중엽을 ​담뱃잎 ​중​ 가장​ 최상품으로 ​쳐준다.​

최병창​씨와​ 함께​ 담배농사를​ 짓고​ 있는​ 아들​ 최인성​씨는​ “날만​ 좋으면​ 담뱃잎을 ​1번​ 정도 ​더 ​딸​수 ​있다.​ 담뱃잎을 ​말리는​ 데는​ 거의 ​6주​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한다.​
비닐하우스에서​ 말리기​ 전에는​ 담배농사를​ 많이 ​짓는 ​집에서는 ​건조장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다.​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내남마을에서 ​담배농사를​ 지어온​ 이종익​씨는​ 아픈​ 부인을​ 대신해​ 그​ 모든 ​일을​ 혼자​ 해내고​ 있다.​

“담뱃잎을​ 만지면 ​끈적​끈적​해.​ 더운​ 여름에 ​따지,​ 엮지,​ 건조장에​ 나르지,​ 열 ​번 ​이상 ​손이​ 가는 ​일이야.”​
1940년생​ 김대돈​씨는 ​“나는 ​담배농사를 ​안​지었지만​ 우리​ 아버지가​ 담배농사를​ 지었다.​ 우리​집 ​옆에​ 담배​건조장이 ​있었는데​ 벽돌을 ​이용해​ 3층​ 높이로 ​쌓고,​ 나무에 ​불을​ 피워 ​화기로 ​말리고는​했다. ​내가​ 스무​살이​ 넘어 ​없어진​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한다.​

건조장은​ 1950~60년대​ 무렵​ 노랑초를 ​재배하던 ​시절 ​담배​농가들이​ 직접 ​벽돌을 ​쌓아​ 만들었고,​ 불을​ 피워​ 잎을​ 말려야​ 노랗게​ 말려졌다고​ 한다.
담뱃잎을 ​묶는​ 일을 ​‘목’짓는다고​ 한다.​ 담뱃잎을​ 목​지어서​ 하얀​ 끄냥이(전매청에서​ 공급하는 ​일종의 ​끈)로​ 규격대로 ​한​ 포,​ 두​ 포​씩​ 포장한다.​ 이를​ ‘하꼬’라고 ​부른다.​ 한​ 포의​ 무게는​ 대략​23~25kg이다.​

담배꺼치(포를​짓는​나무​틀)에 ​담뱃잎을 ​네​켜까지 ​쌓은 ​뒤​ 나무판으로 ​누른다.​ 잘​ 건조된​ 담뱃잎은 ​1등품에서 ​등외품까지​ 분류한다.​ 흠집이​ 없이​ 노랗고 ​길이가​ 긴​것이 ​최상품이다.​ 포장된 ​담뱃잎은​ 예산연엽초생산조합에 ​납품한다.​ 예산연엽초생산조합에​ 납품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3~4년​ 전이다.​

그전에는​ 결성, ​광천,​ 홍성에 ​납품하다가​ 조합​창고가 ​없어지면서 ​예산에​ 납품했다.​
최인성​씨는​ “지역마다​ 납품하는 ​날이 ​다르다.​ 조합에서​ 그때가​ 되면​ 연락이 ​온다.​ 우리는​ 10월​경이​ 될​ 것​ 같다”고 ​말한다.​

납품을​ 하고 ​나서도 ​일이​ 끝나지 ​않았다.​ 벼농사를 ​마무리하고 ​짚을 ​갈무리해야​ 했다.​ 짚은​ 그 ​쓰임새에 ​따라 ​분류해 ​놓고는 ​했다.​ 초가집 이었던 ​시절에는 ​초가지붕을 ​엮는 ​용도,​ 논에​ 퇴비로​ 만들어​ 사용하는 ​용도,​ 나머지가​ 담뱃잎을​ 엮는​ 용도로​ 사용됐다.​ 지금은 ​비닐하우스에서​ 판매 되는​ 노끈을​ 사다가​ 엮는 다고​해도 ​뿌리고,​ 수확하고,​ 널어서​ 말리고,​ 포장하는 ​일은 ​오롯이 ​사람의 ​손을​ 거쳐야만 ​하는 ​일이다.​
지금 ​애연가들이 ​피우는​ 담배에는​ 거의​ 수입산 ​담뱃잎이 ​들어간다고​ 한다.​ 농가에서​ 생산하는 ​수확량으로는 ​담배의​ 양을​ 공급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담뱃잎이 ​말라가는​ 비닐하우스를​ 지나며​ 쿰쿰한 ​담뱃잎 ​냄새에​ 주머니​속 ​담뱃갑을 ​만지작 거린다.​ 바삭거리는​ 비닐​소리에​ 담배​따는 ​농부의 ​거친 ​숨소리가​ 겹쳐​들리는​ 듯하다.​
[출처] [은하면 학산리 내남마을-사람 사는 이야기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