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5:36 (목)
쓰레기, 발생을 줄이는 게 답이다
상태바
쓰레기, 발생을 줄이는 게 답이다
  • 홍성신문
  • 승인 2023.02.27 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성군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설치 후보지를 공개 모집하고 있다. 오는 5월까지 후보지를 접수해 선정하고, 2029년까지 하루 70톤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민간자본 100억원을 포함해 368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된다.

홍성군은 소각시설 설치 이유로 ‘홍성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제시하고 있다. 홍성에서는 하루 100여 톤, 연간 3만6000여 톤의 쓰레기가 나온다. 인구수로 계산하면 주민 1명당 하루에 1㎏를 내놓는 셈이다. 이중 홍성에서 직접 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비중은 18%에 불과하다.

전체 폐기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타는 쓰레기는 모두 당진과 군산의 민간 소각업체로 보내 처리한다. 음식물 쓰레기도 다른 지역으로 보내 재활용하고 있다. 홍성에서 직접 처리하는 양은 재활용 쓰레기 17톤 정도가 전부이다. 매립되는 쓰레기도 하루 130㎏으로 미미한 편이다.

홍성에서 나오는 쓰레기 대부분이 홍성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처리되는 이상한 형국이다. 이렇다 보니 홍성군도 특정한 변수가 발생해 쓰레기 처리가 어려워지는 상황을 감안해 자체적인 소각시설을 준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는 2019년까지 아산시 시설을 이용해 소각하다 아산시의회 차원의 반대로 돌연 중단된 경험도 한 몫 했다.

그런데, 하루 1㎏이나 되는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홍성의 주민들은 이 같은 사실을 잘 모르고 있는 듯하다. 모르면 용감하다고 했다. 실제 홍성의 쓰레기 발생량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홍성군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량은 12년 전인 2010년에 비해 82%나 늘었다. 물론 홍성군 설명에 따르면 이는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입주자가 증가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농촌지역 주민 10명보다 도심 주민 1명이 발생시키는 쓰레기가 더 많다고 한다.

쓰레기 문제의 상책은 ‘줄이기’이다. 소각로나 처리 방법은 하책이다. 또한 그 시작은 현재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주민 스스로 우리지역 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하나라도 줄이는 실천으로 이어가자. 홍성의 하루 소각용 쓰레기 발생량은 53.3톤이다. 70톤짜리 소각시설을 만드니 여유가 있는 게 아니다. 종량제 봉투처럼 부족하면 하나 더 사용할 수 있는 시설도 아니다. 줄이는 게 정답이다. 홍성군은 안정적인 처리와 함께 줄이는 방법에도 보다 많은 힘을 쏟아주기 바란다.

더불어 이왕 만들기로 결정했다면 100년 앞을 내다보고 진행할 것을 주문한다. 홍북읍 홍천마을에 위치한 종합처리장의 매립시설은 향후 50년 이상은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관계 공무원들에게 박수를 보낼 만한 일이다. 이번 소각시설도 그렇게 지어지길 고대한다.

소각용량, 후보지 선정, 추진 절차 등 모든 면에서 홍성의 미래 모습을 상정해 설계하고 추진해 달라는 말이다. 또한 모든 군민도 이 문제를 내 일처럼 고민하고 함께 했으면 좋겠다. 소각시설을 무조건 혐오시설로 인식해 터부시하기보다 꼼꼼히 따져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서산과 당진시가 공동으로 짓고 있는 시설은 4개 마을이나 유치를 신청해 골라서 선정했다. 2025년 준공 예정이다.

무엇보다 정부의 생활폐기물 처리장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 환경부는 몇 개 시·군을 묶어 광역 처리시설을 권고하고 있다. 용량이 큰 소각로를 같이 쓰면 효율이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법적 강제성이 없다보니 실현되기다 쉽지 않다. 홍성도 아산시, 예산군과 하나의 권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아산과 예산이 각각 단독 시설을 결정해 어쩔 수 없이 홍성도 따로 만드는 중이다. 법을 바꿔 소각시설 설치 사무를 시·군이 아닌 시·도나 광역으로 정하면 되는 일이다.

정부는 국가의 일을 애꿎은 시·군에 떠넘기지 말아야 한다. 전국의 시·군·구에 소각시설 하나 쯤은 갖게 하는 게 목표가 아니라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규모의 경제를 생각해야 하는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