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9 09:11 (월)
홍주의사총 국가관리 실현, 이제 시작이다
상태바
홍주의사총 국가관리 실현, 이제 시작이다
  • 홍성신문
  • 승인 2023.12.16 2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주의사총 국가관리 전환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홍성에서 열려 관련 전문가들이 관리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입을 모았다고 한다. 이는 국가 관리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의 시작이라는데 의미가 크다. 늦었지만 다행이 아닐 수 없다.

1895년과 1906년 일어난 홍주의병은 다른 지역의 의병봉기는 물론 3·1운동 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으로 계승된 것으로 평가 받는다. 대한민국의 독립정신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역사인 것이다.

홍주의병 유적인 홍주의사총은 1949년 ‘구백의총’이라는 이름으로 조성된 후 1974년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 1991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 변경된 후 2001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431호로 지정돼 오늘에 이른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담당했던 김상기 충남대 명예교수는 홍주의사총의 역사적 의의로 ‘한말 의병전쟁사는 물론 항일독립전쟁사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대규모 의사총’이라고 들었다. 독립기념관이 지속적으로 한말 의병전쟁 관련 유적지를 조사, 관리하고 있는 곳이 300여 건에 달하는데 그 중 의병 희생자를 모신 의사총으로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유적은 홍주의사총이 유일하다고 한다.

문제는 이렇듯 역사적, 문화재적 의의가 큰 홍주의사총이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진왜란 때도 의병활동이 있었다. 당시의 의병 유적지인 ‘금산 칠백의총’과 ‘남원 만인의총’도 사적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그런데 그 관리를 칠백의총과 만인의총은 국가인 문화재청, 홍주의사총은 기초자치단체인 홍성군이 하고 있다니 어불성설이다.

문화재청이 관리하는 두 의총에는 국가공무원 10여 명에, 한 해 10여 억원의 경비가 지원되고 있다. 반면 홍주의사총엔 기간제 공무원 1명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실정이다. 사적의 국가관리 여부 기준을 ‘19세기 이전과 이후 유적’으로 따로 정해놓은 게 아니라면 이해할 수 없는 조치이다.

자치단체 관리가 국가 관리보다 소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지정 주체에 따라 역사적인 위상에 걸 맞는 예산과 대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정을경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박사의 진단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국가의 정책은 형평성이 기본이다. 국민 누구에게나 어느 지역에나 타당해야 한다는 얘기이다. 홍주의사총의 관리 문제는 홍성 군민 그 누구에게도 설득력이 없다.

토론에 참석한 문화재청 국장의 “여러 부처와의 협의와 토론이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이 실망스러운 이유이다. 그러나 그의 “이번 토론회가 (국가관리의) 필요성과 정책 연구 시작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말에는 공감한다. 시작했으니 끝을 봐야 한다.

기실 홍주의사총의 관리 문제는 홍성군이 자초한 면이 없지 않다. 1년에 1~2번의 참배와 제향, 연간 1억원도 안 되는 경상경비, 숨기듯 설치된 홍주의병기념탑 등을 뒤 돌아 봐야 한다. 금산과 남원의 의총도 하늘에서 떨어지는 국가관리를 주은 게 아니다. 각고의 노력으로 획득한 결과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부터 소중히 여기고 기리며 요구해야 기본이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기다린다고 주어지는 일도 없다. 홍성군 차원의 홍주의사총 관리와 활용에 대한 실감할 수 있는 정책 전환을 기대한다. 변화된 정책을 토대로 국가관리 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로드맵이 제시돼야 한다. 정치인은 물론 홍성 군민 모두도 힘을 보탤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