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5:36 (목)
누가 이 어려운 홍성 경제를 살릴 것인가?
상태바
누가 이 어려운 홍성 경제를 살릴 것인가?
  • 홍성신문
  • 승인 2022.04.04 0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성 지역경제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들다. 음식점에 가보면 자재 값 인상으로 불가피하게 음식 값을 올리겠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 미용실에서는 남성 이발비도 1만5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최근 올랐다. 얼마 전 개업한 내포의 한 음식점에서는 직원을 채용하지 못해 부득이하게 경쟁업체의 직원을 월 20만원 더 올려주겠다며 채용했다고 한다. 이렇듯 홍성지역의 경제는 심각한 수준이라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사실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세계 경제가 악화일로로 걷고 있어 그 파급력이 세계 경제는 물론 우리나라 경제와 우리 지역에 까지 미치고 있는 것이다. 가스요금이 4월부터 평균 1.8%, 가구당 평균으로는 월 860원 오른다. 전기요금도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2120원이 인상된다. 이번 가스요금 인상은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조치다.

커피와 주류 등에 이어 과자와 아이스크림 가격까지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롯데제과는 이번 가격 인상에 대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원부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원가부담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판단에 내려진 조치"라고 설명했다.

건설 공사에 쓰이는 핵심 자재인 철근과 시멘트 가격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철근 값은 최근 들어 1t당 100만 원을 넘어섰다. 철근 값은 지난해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수출을 제한하면서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급등세다. 골재 가격도 치솟고 있다. 이달 골재 가격은 1㎥당 1만5000원으로 3개월 전 대비 7~10% 올랐다. 시멘트 가격 역시 지난해 7월 t당 7만8800원에서 지난 1월 9만3000원으로 뛰었다. 이달 시멘트 원료인 유연탄 가격은 지난해 평균가 대비 89.4% 상승했다.

본격적 영농철을 앞두고 농자재값도 덩달아 폭등해 농민들이 시름에 잠겼다. 비룟값의 경우 20kg 1포에 지난해 9200원에 판매되던 요소비료가 올해 2만8900원에 판매되는 등 세 배 넘게 올랐다. 농약 값도 지난해에 비해 15% 정도 인상됐다. 여기다 하우스용 비닐마저 100m 기준 지난해 45만원이던 가격이 올해는 10만원 더 비싸져 농민들의 영농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농민들은 농산물 값은 제자리걸음인데 농자재 값은 폭등해 농사짓기가 갈수록 팍팍하다고 하소연이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비닐하우스 난방용 기름 값이 턱없이 올라 하우스 농가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지난달 말 1리터에 1100원 대이던 실내 등유 가격이 이달 들어 1300원 대까지 치솟으면서 하우스 재배 농가들이 면세 등유를 사용한다고 해도 적잖이 부담이 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밀 가격은 80% 가까이 상승했다. 세계 곡물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밀 가격은 t당 412달러(약 49만9000원)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보다 76% 오른 셈이다. 곡물 가격 상승은 사료 가격을 올려 다시 축산물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미래 물가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이 이달 들어 3%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올랐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공급망 차질이 심화되고,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뛰면서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근로자가 물가 상승을 예상하면 고용주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기업은 임금 상승분은 물론 원재료 인상분까지 제품 가격에 반영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더 오르는 원리다.

따라서 농민들은 본격적인 영농 철을 앞두고 정부는 무기질비료 인상분의 80%만 보조할 것이 아니라 모든 비료의 가격인상 분 전액을 지원하고 농민의 필수농자재 구매 비용을 어떻게 지속해서 책임질지 중장기적 대책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우리 지역도 롯데마트나 이마트에브리데이라는 대형마트가 홍성읍에 2개 내포에 1개 등 세 곳이 있다. 여기에 우리지역 농특산물을 의무적으로 판매하게 하는 조례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같은 암울한 대내외적인 경제 상황에서 대선에 이어 6월 1일 지방선거가 있다. 도지사나 군수 그리고 지방의원들의 경제 살리기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후보들은 자신들이 경제 전문가라고 주장한다. 과연 지역경제 살리기의 진정한 해법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후보를 우리는 환영한다. 그리고 후보들은 대안을 제시하고 유권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아야 한다. 정당을 떠나 실력과 책임 약속을 지키는 후보를 우리는 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