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5:36 (목)
“푸드플랜 성패 민·관 협치 좌우”
상태바
“푸드플랜 성패 민·관 협치 좌우”
  • 김영찬 기자
  • 승인 2021.04.24 0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푸드플랜과 생산자 조직화 위한 농민교양포럼
전문가 5인이 지난 21일 오누리다목적회관에서 홍성의 먹거리 정책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은 지난 21일 장곡면 오누리다목적회관에서 제1회 농민교양포럼을 열었다. 친환경 농업과 먹거리와 관련된 전문가 5인이 참석해 ‘푸드플랜과 생산자 조직화’를 주제로 홍성의 먹거리 정책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푸드플랜이란 먹거리를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원활하게 전달하는 사회 환경을 만드는 실천전략이다.

포럼에서 나온 주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 곽현정 이사 = 푸드플랜의 개념이 와닿지 않는다. 사업 주체들의 이해도가 높은가도 의문이다. 푸드플랜 주체들이 서로의 이익에 따라 충돌하는 것도 문제다. 협동할만한 토대가 없다. 푸드플랜의 기본은 자연과 흙을 살리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먹거리의 본질에 충실한 것이 우선이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 문형규 생산관리위원장 = 로컬푸드라면 지역에서 소비하는 게 맞지만 하고 싶어도 경제성이 없어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생산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혜택이 있으며 좋겠다.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는 돈을 벌기 어렵다. 친환경 특구라는 이름에 걸맞는 정책이 아쉽다.

충남먹거리연대 김오열 집행위원장 = 전국 100여 곳의 지자체가 푸드플랜을 추진하고 있지만, 참여자 조직에서 예산 등을 결정하거나 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협치라는 것은 권력을 나눈다는 의미다. 푸드플랜의 성패는 민관 협치가 얼마나 잘 이뤄지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또 하나는 먹거리가 소비·유통 수준을 넘어 아닌 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지역 농산물의 판매확대도 중요하지만 돌봄 차원의 효과도 함께 있어야 푸드플랜이 긍정적 목표를 달성 가능할 것이다.

홍성먹거리연대 정상진 준비위원장 = 푸드플랜을 하기에 농민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홍성은 푸드플랜을 먼저 시작했음에도 다른 시군보다 앞서지 못한 것 같다. 충남먹거리 조례가 생긴 것처럼 홍성군에도 관련 조례가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은미 연구위원 = 홍성은 생산자 조직이 그동안 잘해왔지만,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농정을 주도하는 권력은 소비자에 있다. 실제로 지역 생산자 조직은 생산자의 양보를 강요하는 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생산자의 부담이 크다. 농산물 유통은 돈이 되는 사업이 아니다. 전북 완주의 경우 물류비용을 지자체가 부담한다. 생산자에 너무 많은 것을 맡기지 말아야 한다.

행복중심 풀무소비자생활협동조합 조성미 이사장 = 그동안 푸드플랜 계획 등에 참여하면서 아쉬운 점이 계획은 무성한데 절박한 생산자들의 마음이 반영되지 않는 것 같다. 중소농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대책이 필요하다. 풀무생협이 62개 지역어린이집에 친환경급식을 공급하고 있지만, 지역 농산물을 받으려고 해도 없다. 지역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