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08:41 (금)
중증 장애인이 자신의 권리 찾을 수 있도록
상태바
중증 장애인이 자신의 권리 찾을 수 있도록
  • 신혜지 기자
  • 승인 2022.04.18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권자의 선택은? ⑧ - 한누리 임다혜 과장
정다혜 과장이 한누리의 비전을 적어 보였다.
임다혜 과장이 한누리의 비전을 적어 보였다.

임다혜(46) 과장은 중증 장애인 생활 시설인 한누리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누리에는 자폐·지적 장애인이 많은데, 신체적 장애인에 비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게 쉽지 않다. 앞선 대선 때도 후보자들의 공약이 적힌 홍보 책자를 받았었으나 내용이 어려워 중증 장애인들이 이해하기에도, 근무자들이 설명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중증 장애인들도 소중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모의 투표도 진행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쉽게 공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표현하는 등 중증 장애인을 배려하는 홍보물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중증 장애인들의 자립을 위한 자립정착금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하다. 현재 한누리에도 4명이 자립체험실에서 생활하고 있다. 자립지원금 제도는 있지만 예산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장 자립을 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자립을 하게 되면 이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센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없기 때문에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갈 확률도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적으로 연계해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즘은 비장애인에게도 평생교육이 중요하지만, 지적·자폐 장애인에게는 더욱 절실하다. 20세 이전까지는 학교에 다니다가 졸업을 하면 교육을 받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들은 활동재활센터나 복지관을 이용해야 되는데, 이용자 수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장애 특성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 특징,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를 배치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당장 장애인 평생학습센터를 건립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니, 이미 세워진 공간 중 대상자 모집이 어려운 곳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한다.

임다혜 과장은 “40대만 돼도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거의 없다. 이러한 서비스가 많아져야 된다”고 말했다.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비슷한 예로 장애인 재활 바우처가 있다. 장애인들의 재활을 돕기 위해 심리·놀이·운동 치료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하지만 만 18세 미만으로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정 과장은 “장애는 없어지는 것이 아닌 평생 가는 것이다. 성인이 되면 심리적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연령대를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다혜 과장 또한 선천적으로 경증 장애를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도 장애인, 비장애인을 구분하는 단어는 낯설기만 하다. 임 과장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똑같은 사람이다. 그저 특별한 면이 조금 더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 과장은 동등하게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들이 직접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작은 기회로부터 인식 개선은 시작된다고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