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08:41 (금)
“축산업 변화해야 지속 가능”
상태바
“축산업 변화해야 지속 가능”
  • 김영찬 기자
  • 승인 2021.10.02 0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축산악취 문제 해법을 찾는다⑤

축산 악취 문제의 해결은 어려운 문제다. 특히 전국 최대 규모의 축산단지인 홍성의 경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홍성군에서는 돼지 60만 마리, 소 6만 마리. 닭 220만 마리 등 290만 마리의 가축이 사육되고 있고 이들이 내는 가축분뇨의 양만 하루 4000톤에 달한다.

하지만 이를 처리할 시설은 하루 1000톤이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농가에서 액비를 만들거나 정화해서 배출하게 되어 있다. 군에서는 정기적으로 배출수의 수질을 검사해 기준치를 넘는지 검사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홍성의 경우 많은 축사가 밀집되어 기준치를 맞춰 방류해도 방류하는 절대량이 많아 하천에 녹조가 생기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하천과 농지가 소화할 수 있는 양을 제외하고 이를 자원화하는 시설 등을 더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분뇨처리 시설 도입 어려움

홍성군에서도 공공처리시설이 좀 더 필요하다는 인식은 가지고 있다. 축산과 이병민 팀장은 “시설을 늘리고 싶어도 사업계획 단계에서 탈락한 사례가 많다. 지금도 관심을 가진 곳이 몇 군데 있긴 한데, 사업비의 30%를 부담해야 하는 문제도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어디에 시설을 도입하느냐다. 주민들의 반대로 위치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작년에 결성면 원천마을에 준공된 110톤 규모의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은 앞으로 시설도입을 위한 모범사례로 손꼽았다. 원천마을에 들어선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은 주민과 축산농장이 함께 논의한 끝에 도입을 결정하고 운영 중이다. 원천마을의 사례는 전국에서도 모범적으로 처리시설을 도입한 방식으로 알려져 많은 지자체가 견학을 오고 있다.

시설이 도입되기 전까지 원천마을은 돼지농장 2곳과 한우농가 6곳이 있어 가축분뇨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 주민들은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기 위해 경남 양산의 바이오 플랜트를 직접 방문했다. 그 후 긍정적으로 판단한 주민들은 마을발전위원회를 통해 축산분뇨처리시설 도입 계획을 세웠다.

민주적 도입 절차·소형 시설 필요

신나영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소비를 줄여 사육두수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악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육두수를 줄이는 근본적인 처방이 없는 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차선은 공공처리 시설을 늘리는 것이다. 다만 지금처럼 위에서 계획을 세우고 주민들은 반발하는 방식은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런 방식은 오히려 다음번 시설도입을 더 반대하게 되는 악순환이 생기기 때문에 산업적 접근이 아닌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 씨는 “원천마을처럼 주민 의견을 듣고 주민들이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고 도입하는 민주적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너무 대규모 시설만 도입하려고 하는 것을 들었다. 신 씨는 “환경부에서 하는 처리시설 사업은 200톤, 농식품부에서 하는 것은 100톤 이상이다. 대형일수록 반발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선진국의 사례로 독일을 들었다. 독일에는 1만 개 이상의 축산분뇨 처리시설이 있고 개별 농장 단위로 운영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대가 심한 음식 쓰레기를 섞는 대신 마을에서 나오는 농업 부산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신 씨는 “외부에서 쓰레기를 들이지 않고 마을 단위에서 나오는 분뇨와 쓰레기를 마을 자체에서 처리하는 것이 주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제일 좋은 방식”이라고 말했다.

현재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것은 축산악취지만 앞으로 미래 축산업의 걸림돌은 한 가지 더 있다. 축산업이 발생시키는 온실가스가 바로 그것이다. 돼지 한 마리가 1년간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이산화탄소로 환산할 경우 0.12 톤에 달한다. 소의 경우 더 심해 한 마리가 돼지 25마리분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축들이 내뿜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80배나 되기 때문에 축산악취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축산업도 변해야만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체적인 의견이다.

대통령 직속 농특위 농어업 분과위원이기도 한 해지음영농조합법인 이기홍 대표는 “축산악취 문제를 그대로 안고 가면 축산업의 미래는 밝지 않다. 여기에 더해 앞으로 온실가스 쿼터제 등이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 축산업계가 앞장서서 대비하지 않으면 축산업을 하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