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47 (금)
초대칼럼/ 전영미<충남어촌특화지원센터 전임책임연구원>
상태바
초대칼럼/ 전영미<충남어촌특화지원센터 전임책임연구원>
  • guest
  • 승인 2018.04.20 1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에서 일자리와 창업 지원한다는 건
▲ 전영미<충남어촌특화지원센터 전임책임연구원>

농어촌에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과소화가 진행되어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에서는 다양한 방안과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어촌 지역을 위해서는 사람이 그 곳에서 살아야 한다. 살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필요하다. 일자리와 창업, 최근 10여년 넘게 정부가 바뀔 때 마다 변하지 않는 화두로써 꾸준히 진화하는 지원책 중 하나다.

청년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34세 이하 청년 창업기업에게 5년간 법인세와 소득세를 100% 감면해주기로 했다고 한다. 연령, 지역과 관계없이 연 매출이 4천8백만원 이하인 모든 창업자에게 같은 혜택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청년창업기업 14만개가 혜택을 보고, 연간으로는 2500억원 가량의 세금을 절약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평균 26만8000명의 취업자가 늘었고 그 중 89.6%가 1년 이내 창업기업에서 배출되듯이 창업은 곧 일자리와 직결된다. 또 기업가치만 1조원이 넘는 세계 226개 유니콘 기업들은 평균 2천여 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들 기업의 창업자는 청년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올해 농식품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청년 창업기업 보육 50개 업체를 선정하고 700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한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농식품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청년 벤처와 창업을 지원하여 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재단은 43억7000만 원 규모 농식품벤처창업활성화지원사업, 120억 원 규모 농식품기술사업화 R&BD지원사업, 1억2000만 원 규모 6차 산업 청년창업 사업모델공모전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보면 창업의 효과는 일자리와 직결되고 그 부가가치 또한 엄청나다. 예산의 투입이 필요하다는 논리도 확보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로 나타나는 효과는 어떨까? 기업에서의 창업은 수월할까? 농어촌지역에서의 창업은?

어촌에 젊은 외지인을 유입하기 위해서 어촌계의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청년 어업인에 대한 창업, 현장중심의 기술교육, 주택구입 지원, 귀어가 교육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창업을 하거나 어촌에서 일자리를 갖기는 쉽지 않다.

우리는 일자리를 만드는 특징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에게 취업을 위한 기술습득 교육이나 신상품 개발 컨설팅과 홍보·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을 간과하는 건 아닐까. 막상 창업, 일자리에 대한 예산은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모르고 있을 수도 있다.

당신에게 맞는‘일하는 형태’를 찾아보지 않겠습니까? 이렇게 홍보하고 싶지만 가지고 있는 대안이 없다. 주변에 할 일거리는 있는데 일자리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렇다면 일거리를 일자리로 만들어가는 작업, 그 때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방법도 필요하겠다. 일이 단순히 먹고 살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지역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면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삶의 방식으로 여기는 여유도 보태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