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7:58 (화)
<기획> 텅 빈 학교부지 어떻게 활용한 것인가<4>/ 학교 재배치 사례(전라남도교육청)
상태바
<기획> 텅 빈 학교부지 어떻게 활용한 것인가<4>/ 학교 재배치 사례(전라남도교육청)
  • 민웅기 기자
  • 승인 2015.07.24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점고 육성·학교 이설 역점 추진

홍성고의 내포신도시 이전에 따라 홍성읍 학교재배치 문제가 수면으로 떠올랐다. 홍성여중과 홍성여고의 이전 요구와 추진이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군청사 신축이전을 위한 홍주초 이전도 거론되고 있다.

충남도교육청의 “학교재배치 불가” 발표로 열기가 수그러들긴 했으나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학교재배치는 비단 홍성읍만의 일은 아니다. 광천읍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인구 변화, 이동으로 인해 학교 재배치, 통폐합, 폐교는 지역 전체의 고민이 되고 있다.

이에 전라남도교육청의 학교재배치를 ‘거점고’ 육성과 ‘이설’을 중심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다른 의견과 반대가 상존하며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현상 위주로 소개한다. 재배치, 통폐합, 이설 등은 교육현장에서 각각 다르게 분류되고 있으나 큰 틀에서의 의미로 하나로 통칭했다. <편집자 주>

▲ 전남교육청은 교육경쟁력 향상 일환으로 군단위 고등학교를 통합해 거점고로 육성하는 사업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올해 초 3개 학교가 모여 새롭게 출발한 무안고.
군단위 22개 고교 10개로 통합

전남교육청은 학교 신설 및 이설과 거점고등학교 육성을 중요 시책과 역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2015 전남교육계획’에 따르면 전남교육청은 유입학생 수용을 위한 학교 신·이설, 소규모학교 인근 개발지역 신설대체 이전 우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농어촌 지역의 학생수 감소와 교육경쟁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지역별 거점고등학교를 육성해 오고 있다.

거점고 육성은 군단위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4~6개를 2~3개 학교로 모으는 방식이다. 전남교육청 거점고등학교 육성 추진단의 황인홍 주무관은 “교육경쟁력 확보를 위해 적정규모의 학교를 만드는 것”이라며 “통폐합과 같은 의미”라고 말했다.


2013년부터 8개 군에서 22개 고등학교가 10개 학교로 통합했다. 통합에 따라 12개 학교는 폐교됐다. 올해에도 무안군에 위치한 무안고, 현경고, 해제고 등 3개 학교가 무안고 하나로 통폐합했다. 해남공고와 황산고도 해남공고로의 통합이 확정됐다. 2016년과 2018년에도 강진군과 함평군의 5개 학교가 2개의 거점고로 변경될 예정이다.

교육비용 95억원 절감 효과

거점고에는 시설, 기자재 등이 대폭 지원된다. 폐지학교 학생들에게는 통학비, 기숙사비, 하숙비까지 지원하고 있다. 황인홍 주무관은 “폐지학교 학생들에게는 수학여행비, 현장체험료도 무상으로 하고 있다”며 “학생이나 학부모가 손해가 되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주무관은 또 거점고 육성 과정에서 학부모, 학생, 동문들의 반발이 상상을 초월했다고 전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 주도 추진에서 벗어나 지역민 협의체 등을 구성해 주민중심으로 논의를 추진해 왔다고 설명했다.

황 주무관은 “올해까지 10개 거점고 운영을 통해 비용을 제외하고도 95억 원의 교육경비 절감 효과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수요변화 따라 작은 학교 이전 시설

전남교육청 학교재배치의 또 다른 축은 학교 신·이설이다. 2014년과 2015년 ‘전남 신·이설 및 폐지 학교 현황’에 따르면 2년간 총 2개 유치원과 4개 학교가 이전 설치됐다.

2014년 해남군의 우수영초, 문내초, 문내동초, 우수영초 중화분교 등 4개교가 통합해 우수영초로 교명을 확정하고 새로 조성된 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 나주시 봉황고도 나주혁신도시로 이전했다.

전남교육청은 봉황고 이전 이유를 나주혁신도시 교육여건 조성과 공동주택 건립에 따른 유입학생 수용을 제시하고 있다. 인근 면지역에 있던 학교를 신도시로 이전해 배치한 경우이다.

올해 3월에도 광양시에 위치한 광양남초와 병설유치원이 4㎞ 정도 떨어진 광양시 용강지구로 이전하면서 학교 이름을 광양마로초로 바꿨다. 용강지구 공동주택 건설과 입주로 인한 용강초의 과밀학급 해소가 주목적이었다.

전남교육청 행정과 강주호 주무관은 “학교 이설은 교육 여건과 수요 변화에 따라 신설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 진행되는 재배치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