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5:36 (목)
홍성 민간주도 마을만들기 전국 주목
상태바
홍성 민간주도 마을만들기 전국 주목
  • 정명진 기자
  • 승인 2015.06.26 0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마을만들기 지원시스템 필요하다<1>/ 홍성군 현황

홍성군의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해 전국이 주목하고 있다. 대부분 행정 주도로 추진되는 지역이 많지만, 홍성군은 민간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례로 손꼽힌다.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네트워크를 이뤄 마을을 지원하는 것은 홍성군만의 특징이다. 하지만 마을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전국적으로도 마을만들기 사업을 마을에만 맡기는 방식에서 탈피해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본 기획기사를 통해 홍성군의 특색이 담긴 마을만들기 지원시스템의 방향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2> 개념 및 구상
<3> 전국 현황
<4> 진안군 사례
<5> 영국 사례
<6> 좌담회
<7> 쟁점

 
79개 마을 추진 … 선도사례 평가

홍성군의 마을만들기가 홍동면 중심으로 추진된다는 말은 옛말이다. 문당리 등 홍동면의 몇몇 마을이 전국에서 선도적인 사례를 만들어 낸 성과는 분명히 전국적으로 인정받았다. 최근 들어 홍성군의 마을만들기는 11개 읍면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올해까지 문당권역과 내현권역 등 18건의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이 추진됐고, 51개의 희망마을, 13개의 농어촌체험마을에서 마을만들기 사업을 준비하거나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사업이 중복된 마을을 제외하고 홍성군에서 마을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는 곳은 행정리 기준으로 79개 마을이다. <지도 참고>

지난 6월 충남도가 실시한 행복마을만들기 콘테스트에서 홍성군이 최우수로 선정돼 오는 9월 농식품부가 주관하는 전국 콘테스트에 충남 대표로 참가한다. 충남도는 최우수 선정 이유에 대해 △민관 협력 거버넌스 ‘홍성통’의 운영으로 다양한 민관주체들의 수평적 참여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친환경농정발전기획단 활동 지원 △농촌개발 등 마을만들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공무원전문직위제도 도입 등을 제시했다.


지난해에도 농식품부 주관 전국 콘테스트에 홍성군이 충남 대표로 참가해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올해 지역발전위원회 평가 중에 홍성군은 마을만들기 사업 중 하나인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분야에서 전국 상위 5% 이내인 S등급을 받기도 했다.

체계적 지원시스템 마련 과제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마을만들기를 준비하는 모든 마을에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주민들이 모여 많은 시간을 투자해 마을계획을 세웠지만 실제 사업을 실행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는 마을도 많다.

홍성군 내에서도 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는 마을이 80여 곳에 달하면서 개별마을마다 관리하고 지원하는 일은 이미 행정의 영역을 벗어났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과 민간 사이에서 상시적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을 전담할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소정식 홍성군 희망마을협의회장은 “컨설팅 업체가 계약기간이 끝나고 빠져나가고 나면 그 이후로는 마을 관리가 안 된다”며 “애써서 마을계획까지 세워놓고 아무 사업도 못하고 있는 마을 주민들의 실망이 크다”고 말했다. 소 회장은 “지역에서 상시적으로 마을이장이나 추진위원장과 소통하면서 마을발전계획이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간지원조직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홍성군 중간지원조직 구축 무산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목소리

홍성군의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인 (가칭)지역협력센터 구축사업은 올해 충남도 3농혁신특화사업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홍성군은 지난 5월 1차 추경예산안에 공모사업으로 확보한 도비 7000만 원과 군비 7000만 원을 지역협력센터 구축사업비로 편성했지만 군의회가 군비 7000만 원을 삭감했다. 도비와 군비 1:1 매칭 사업이라 올해 연말까지 추경에서 군비를 세우지 못하면 도비를 반납해야 하는 상황이다.

군의원들은 지역협력센터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인건비와 운영비를 낭비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1차 추경안 심사 당시 예산결산위원장을 맡은 이병국 군의원은 “여러 민간단체에 인건비와 운영비가 지원되지만 낭비되는 사례가 너무 많다. 또 새로운 단체를 만드는 것에 대해 우려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홍성군 외에 타 지역에서 중간지원조직이 잘 운영되고, 필요성이 확인되면 재고할 여지도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 놨다.

중간지원조직 등 지원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홍성군만이 가지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장점에 대한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일본과 전북 진안군에서 마을만들기 정책을 연구해온 충남연구원 구자인 책임연구원은 “홍성군이 걸어온 마을 만들기 역사에 대해 외부에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데 지역 내부적으로 객관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홍성군이 이뤄놓은 성과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마을만들기에 대한 학습을 함께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